새정부 기대감에 창조경제株 찾기 분주.
Information is Power
창조경제 관련주
분야 |
관련업종 |
종목 |
산업과 모바일 융합 |
통신망 |
케이아이앤에스, 윈스테크넷, 엔텔스, 네이블, KTH, SK텔레콤, LG유플러스, KT |
플랫폼 |
NHN, SBS콘텐츠허브 |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
소프트웨어 |
인프라웨어, 안랩, 다우데이타, 크루셜텍, 퍼스텍, 니트젠앤컴, 아로마소프트, 휴맥스홀딩스 등 |
감성ICT |
음성인식, 생체인식, 동작인식 |
파인디지털, 디오텍, 브리지텍, 슈프리마, 삼본정밀전자, 디지털옵틱, 나노스, 옵트론텍 |
스마트기술 |
스마트결제 |
한국사이버결제, 다날, KG이니시스, KG모빌리언스 |
스마트카 |
유비벨로스, MDS테크, 인포뱅크 | |
콘텐츠 |
방송 및 애니메이션, 게임 |
SBS, CJE&M, 제이콘텐트리, 오로라, 대원미디어, 위메이드, 컴투스, 현대에이치씨엔, CJ헬로비전 |
전자책 |
예스24, 비상교육 | |
바이오 |
진단의약 |
인포피아, 아이센스 |
헬스케어 |
인피니트헬스케어, 제이브이엠 |
창조경제란 ?
창조경제론을 상상력과 창의성, 과학기술에 기반한 경제운영을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고 새로운 시장과 일자리를 만들어가는 정책.
정책의 지향방향은 추격 모방형 경제에서 선도 창의형 경제로,
경제성장률 지향의 경제에서 고용률 지향의 경제로,
양적성장에서 인적자본과 과학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질적 성장으로 한다.
추격모방형 경제 |
선도 창의형 경제 |
경제성장률 지향의 경제 |
고용률 지향의 경제 |
양적성장 |
질적성장 |
정책목표를 달성한 7대 전략(정책수단)
- '국민행복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시장 및 일자리 창출(과학기술을 통한 시장, 일자리 창출)
- 소프트웨어를 미래성장산업으로 육성
- 새로운 기업이 끊임없이 탄생하는 창업국가 건설
- 스펙을 초월한 채용시스템 정착
- 청년들의 글로벌 시장에서 일자리를 찾는 'K-Move'
- 미래창조과학부 신설
요약해보면 소프트웨어, 창투사 관련주는 파급력이 클 수 있으며,
일자리, 바이오, 콘텐츠 분야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할 것입니다.
물론 제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