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일가스 테마주 - GS글로벌, SH에너지화학, SK, 한국전력, E1, 한국카본, SK가스, 화인텍, 두산중공업, 한국가스공사, 대우인터내셔널, 성진지오텍, 비에이치아이, S&TC, 우림기계
Hot issue - 셰일가스 테마주
러시아, 셰일가스 본격 개발 <2013.4.1>
세계 2위 산유국인 러시아도 미국에 이어 셰일가스전 개발에 뛰어들었다. 오는 2020년까지 일평균 1000만배럴 수준의 산유량을 유지할 것으로 본다.
셰일가스 테마주 - GS글로벌, SH에너지화학, SK, 한국전력, E1, 한국카본, SK가스, 화인텍, 두산중공업, 한국가스공사, 대우인터내셔널, 성진지오텍, 비에이치아이, S&TC, 우림기계
종목명 |
내용 |
이 종목의 다른 이슈 |
GS글로벌 |
GS그룹 계열의 종합 무역상사. 철강금속과 자원물자(시멘트, 에너지자원, 기계, 산업소재 등) 등의 상품 수출입과 삼국간 거래, 수입자동차의 물류 서비스, 창고 임대사업, 자전거 유통 판매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일본, 중국, 동서남아시아, 미국 등에 해외거점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구축함
|
종합상사 |
SH에너지화학 |
美 리얼티그룹 계열의 합성수지 및 화장품원료 제조업체. 대표적인 상품은 합성수지 사업부문의 EPS레진(스치로폼 원료)과 화장품 사업부문의 Nylon-12 Fine Powder(파우더, 파운데이션을 포함한 메이크업 제품에 사용) 등이 있음. 미국 내 자회사인 SH Energy USA, Inc.를 통해 셰일가스 사업도 추진하고 있음
|
|
SK |
SK그룹의 지주회사. SK이노베이션(주), SK텔레콤(주), SK네트웍스(주), SK건설(주), SKC(주), SK E&S(주), SK해운(주), SK바이오팜(주), SK임업(주) 등 총 9개의 자회사를 보유
|
지주사, MSCI
|
한국전력 |
국내 발전 및 송전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공기업. 국내에선 독점적 시장점유율로 안정적인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해외에선 화력/원자력/수력 등의 발전사업과 유연탄, 우라늄 등의 자원개발사업으로 성장성을 키워가고 있음. 또한, 저탄소발전기술, 스마트그리드,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 등의 녹색기술 사업과 청정개발체제(CDM) 사업도 추진하고 있으며, 개성공단에서 대북 송전 사업도 진행중임. 거래소 상장업체인 한전KPS, 한국전력기술(한전기술)을 비롯하여 한국수력원자력(주), 한국원자력연료(주), 가로림조력발전(주) 등의 계열사를 보유
|
MSCI, 남북경협, 원자력발전, 환율하락수혜주 |
E1 |
LS그룹 계열의 LPG 수입 및 무역 전문업체. 대부분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 등 중동 주요 산유국으로부터 장기도입계약을 체결하여 LPG를 도입, 이를 국내 정유사, 충전소, 산업체 및 도시가스사 등에 공급하고 있음
|
LPG(액화석유가스) |
한국카본 |
LNG운반선용 단열판넬, 탄소섬유 및 합성수지 제조업체. 매출 구성 중 가장 높은 LNG사업부는 LNG운송용 선박의 저장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첨단소재인 극저온 단열재를 생산하고 있음. 자회사 에이치씨네트웍스를 통해 캄보디아 조림지 임차(70년)에 성공한 바 있음.
|
조선기자재, 차량경량화 |
SK가스 |
SK그룹 계열의 액화석유가스(LPG)의 수입, 저장, 판매업체. 대부분의 LPG를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레이트 등 중동지역으로부터 장기공급계약을 통한 수입 및 SPOT거래처로부터 수입하여 정유사, 석유화학업체, 산업체, LPG충전소 등에 공급하고 있음.
|
LPG(액화석유가스) |
화인텍 |
PU단열재(초저온보냉재, PU SYSTEM, 샌드위치판넬) 사업과 가스사업(SGC, 냉매, 방재시스템) 영위업체. 국내유일의 LNG선 탱크의 일관생산업체로 LNG선 보냉재 부문에서 독점적인 시장점유율 보유하고 있음
|
조선기자재 |
두산중공업 |
두산그룹 계열사로 발전설비사업(원자력, 화력, 풍력, 수력, 열병합 등), 담수/수처리 및 산업설비사업, 주단사업, 건설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기초소재인 주단조에서부터 원자력, 수화력 등 발전설비, 해수담화 플랜트, 환경설비, 운반하역설비 등을 제작, 공급하고 있음. 엔지니어링에서부터 기자재 제작 및 설치, 시운전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일괄수행하는 EPC(Engineering, Procurement & Construction) 사업에 주력하여 해외 발전 및 담수 시장에서도 큰 성과를 거두고 있음. 원자로 용기 제작이 가능한 단조설비를 가진 세계적인 회사중 하나이며, 국내 첫 원자력발전 해외 수출 1호인 아랍에미리트(UAE) 원자력발전소 주기기 공급사로 참여함. 두산인프라코어㈜, 두산건설㈜, 두산엔진㈜ 등을 자회사로 보유
|
수자원 양적개선, 원자력발전, 풍력에너지(발전기 제조업체), 전력설비, 핵융합에너지, MSCI
|
한국가스공사 |
천연가스 도입 및 도매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보유한 정부출자 공기업. 해외의 천연가스 생산지로부터 LNG를 도입하여 국내의 발전사 및 도시가스사에 공급하고 있음. 수익원 다각화와 안정적인 도입원 확보를 위해 해외사업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가스자원 탐사/개발 사업, 액화사업 및 지분투자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음. 캐나다 비전통 가스 사업 참여를 계기로 셰일가스/치밀가스 등 비전통가스의 탐사 및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향후 독자적인 운영능력을 갖출 계획임
|
MSCI, 겨울관련주, 수소에너지, 자원개발, 환율하락수혜주 |
대우인터내셔널 |
미국, 중국, 일본, 독일, 인도네시아 등에 해외 법인을 두고 무역, 생산, 판매, 유통, 자원개발분야 등의 사업을 영위하는 종합 무역상사. 교보생명 지분 보유
|
종합상사, 자원개발, MSCI, 희귀금속 |
성진지오텍 |
포스코그룹 계열사로 석유화학장치기계, 담수설비(증발기- Evaporator), 발전설비(폐열회수장치) 등의 플랜트사업 및 모듈사업(선박의 선수/선미 블록 등) 등을 영위하는 업체.
|
|
비에이치아이 |
발전용, 제철용 산업설비 설계/생산 전문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HRSG(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배열회수보일러), 보일러, 열교환기, 복수기 등이 있음. 주요 고객으로는 한국전력을 비롯한 전력회사 및 발전사업자, 대형건설사, 포스코를 포함한 제철회사 등이 있음
|
원자력발전 |
S&TC |
S&T그룹 계열로 석유화학, 석유정제 및 GAS 플랜트 등에 사용되는 공랭식 열교환기와 복합화력발전소에 사용되는 배열회수보일러, 원자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 등에 사용되는 복수기 및 화력발전소, 제철소 등에 사용되는 탈질설비 등을 생산, 시공하고 있음. 2009년 미국기계학회(ASME)와 한국전력산업기술(KEPIC)의 원자력 품질인증을 취득함에 따라 원자력발전 기자재 분야 진출과 함께 국내외 원전건설 입찰에 참여하게 되었음. 또한, 미국 Foster Wheeler North America Corp(FWNAC)와의 기술도입 계약으로 원자력발전소는 물론 화력발전소와 LNG복합화력발전소 등에서 사용되는 복수기에 대하여 설계 및 제작과 설치에 관한 국내 독점실시권을 취득함. |
원자력발전 |
우림기계 |
산업용감속기, 굴착기용 주행감속기(트랜스미션) 및 선회감속기, 풍력발전기 부품, 대형정밀기어 등 산업설비 및 중장비, 정밀기계 분야의 핵심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 친환경에너지인 풍력발전기 3MW급 기어박스 개발을 완료하여 향후 대형감속기 및 풍력발전 Gear Box 전문메이커로 도약할 계획임. 주요 매출처로 포스코, 현대중공업, STX, 현대위아, 두산중공업, YK스틸, 세아베스틸 등이 있음 |
풍력에너지 (부품) |